지난 글에서 프로젝트 성공 요인 중 변경관리, 희의관리, 이해관계자, 변화관리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이슈화, 리스크관리, 인적자원, 현실과 지표의 괴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시 한번 출처를 언급하면 2004년 월간 시사컴퓨터에 기고된 천장락 교수님의 글을 정리해서 옮겨놓은 것입니다. 5. 사소해 보이는 문제도 '이슈화' 하자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여러 가지 사정으로 계획과는 다르게 진행되거나, 계획대로 진행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슈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또 어떤 것이라도 일정에 차질을 주게 되면 이슈로 인식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이슈를 관리하는 절차는 다음 6단계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슈 발생 인지 -> 이슈 분류 -> 대응 방안 수립 -> 대응 방안 실행 -> 실행..
지난번에 위험(risk)의 원인, 식별, 위험관리 프로세스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위험이라고 하는 것은 드러나기 전에 처리하는 것이 가장 좋기 때문에 이런 위험 관리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위험이 발생한 이후 처리한다면 프로젝트에 타격도 그만큼 크겠죠.. 4. 위험 관리 그래서 이번에는 위험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도록 할께요.. 위험을 관리한다고 해서 모든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는 없을 겁니다. 그러나 위험관리를 통해서 위험을 회피하거나 위험요인을 줄이거나 위험 발생시 비상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관리에 대해서 정리해 봅니다. 1) 획득 (Procurement) 프로젝트 수행 중에 기술적인 위험요소가 발생한다면, 그런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조직을 구해서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