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2015년 8월 11일 지디넷코리아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최근 데이터 분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다양한 프로젝트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빅데이터 프로젝트의 핵심은 데이터 규모와 관련된 것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분석해서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해 실제로 비즈니스에 활용하는데 있다. 데이터의 가치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가설을 세우고 지속적으로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즉, 데이터 분석은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결과를 만들어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러나 실제 빅데이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형태를 살펴보면, 기존의 SI 프로젝트처럼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대규모 SI 프로젝트를 수행하듯 전체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주..
2015년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지원사업으로 빅데이터 분석 관련 무료 교육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7월 8일(수) ~ 7월 10일(금) 까지 DMC 첨단산업센터에서 진행합니다. 1일차에는 빅데이터 분석의 필요성과 개념, 비즈니스에 적용 사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볼 계획이고2일차에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관련 기술들을 다뤄볼 생각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3일차에는 실제 빅데이터 분석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어떤 방법이 더 나은 것인지 몇가지 주제를 정해서 함께 논의하면서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정식 과정명은 "오픈소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Data Science & Analytics)"이고, 제가 강의를 진행합니다. 단순히 Hadoop이나 R 사용법만 교육하는 기존의 빅데이터 강의에서 벗어나 수강하시는 분들..
"본 글은 2013년 9월 5일 씨넷코리아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기업 뿐만 아니라, 미래창조과학부, 서울시 등 정부기관도 빅데이터 분석 기술과 관련된 분야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 듯 합니다. 매일일보의 김창성 기자님이 정리한 "빅데이터 시대 도래, 성공 열쇠는"이란 기사를 보면 빅데이터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성과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잘 지적한 것 같습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의 성공에 대한 핵심이 무엇인지 제 나름대로 생각을 정리해 봤습니다. 빅데이터 분석은 One-Time Project가 아니다. 빅데이터 분석은 한번 구축하면 되는 SI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빅데이터 분석은 장기간에 걸친 시간, 돈,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