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서평 최근 이슈가 되는 사물 인터넷 (IoT - Internet of Things)을 살펴보기 위해 본 책이다. 저자는 스마트폰, 빅데이터, 사물인터넷을 포함해 최신 ICT 비즈니스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ICT 분야의 전반적인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이해하는데 분명 도움이 된다. 다만, 전체적인 관점에서 다루다 보니 세부적인 내용이 약간 아쉽다. 예를 들어, 가장 관심을 가졌던 사물인터넷에 대해서 한 챕터에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 그래도 "하드웨어 에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스패로"나 "Carrier IQ의 스마트폰 정보 수집" 등은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ICT의 최신 흐름을 파악하고 싶다면 한번쯤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밑줄 긋기 정보의 가치는 소유하느냐로 결..
드디어 2012년 프로야구가 시작되었습니다. 프로야구 승부조작과 같은 이슈들이 있었지만 올해 700만 관중 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정도로 인기가 많은 것 같네요. 개막2연전을 살펴보니 여전히 투타가 안정된 SK와 이대호 없이도 강력한 타선을 보여준 롯데가 눈에 띄네요~ 삼성은 워낙 극강의 팀이라 점차 올라갈 것이고, 기아는 부상이라는 변수로 올 한해도 계속 어려울 것 같아 보이네요. LG는 역시 초반에 강함을 보여주고 있지만 끝까지 유지하는 것이 관건 이겠죠. 두산은 언제든지 상위권을 유지할 수 있는 팀으로 보이고 넥센과 한화도 다크호스로서의 모습을 보일 수 있을 것 같네요. (최훈 님의 각 구단별 마스코트입니다. 귀엽네요..^^)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이나 DBM 보다 고화질로 프로야구를 시청하는 방법을..
스마트폰이 확산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OS를 가진 폰들이 더 많이 나올 것 같습니다. 현재와 같이 아이폰과 안드로이드가 주류를 이루겠지만 MS의 윈도우폰과 삼성의 바다폰도 만만치 않은 추격을 할 것 같은 느낌입니다. 작년에는 아이폰이 대세였다면 올해는 안드로이드가 상당히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또 어떤 상황이 벌어질 지 기대가 되네요~ 그래서 모바일 기기 플랫폼의 동향을 한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iOS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의 운영체제로 널리 알려져서 더 말할 필요는 없겠죠. 애플 TV까지 적용해서 본격적인 스마트 홈 시장까지도 노려보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다른 모바일 운영체제와 달리 폐쇄형 플랫폼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애플이 제작하는 휴대폰, 태블릿, TV에서만 사용할..
어제였나요.. 드디어 구글의 넥서스원이라는 안드로이드 기반 구글폰이 출시되었습니다. 국내 아이폰이 출시된 시점에서 올해 안드로이드 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네요 일단 SKT에서 모토롤라의 드로이드폰을 국내 출시한다고 하니 함 기다려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모바일 생태계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도 참여, 개방, 공유의 키워드로 이야기 할 수 있으니 바야흐로 모바일 2.0이라고 해도 될 것 같네요 각각의 분야에서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Contents: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과 같이 누구나 개발해서 참여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Platform: 다양한 GPOS 중 선택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장이 커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Network: 기존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