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Java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들은 예전 글에서도 한번 정리한 적이 있는데요. 이때는 Redhat 계열의 CentOS에서 세팅하는 것이어서 RPM 명령어로 설치하는 것을 설명했었습니다. 이번에는 Debian 계열인 우분투(Ubuntu)에서 APT 명령어로 설치하는 것을 정리해 보도록 하지요. APT-GET 사용법 우분투는 데비안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RPM이 아닌 apt-get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됩니다. 한글입력기로 유명한 nabi 패키지를 가지고 apt-get 명령어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죠.. nabi 설치 : apt-get install nabi 제거하기 : apt-get --purge remove nabi 검색하기 : apt-cache search nabi 패키지 정보보..
운영하는 서비스의 웹 로그를 분석할 필요가 있어 아파치 웹 로그 분석 툴을 찾아봤습니다. 처음에는 윈도우에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Apache Logs Viewer(http://apacheviewer.com/)를 활용했습니다. 그러나 메뉴얼과 달리 볼 수 있는 항목이 Hit 수 뿐이고 더군다나 대용량의 로그 파일은 처리하다가 Out Of Memory가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찾아보니 리눅스에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AWStats(http://awstats.sourceforge.net)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Apache와 연동해서 웹 기반의 깔끔한 UI도 제공하고 필요한 정보다 나름 많이 보여줘서 괜찮은 것 같습니다. 이걸 하기 위해 맥북의 패러럴즈에 우분투를 설치하고 설정해 봤습니다. 먼저 AWs..
우분투에서 아파치 서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할께요. 아파치는 소스 컴파일로 설치하는 것이 더 좋지만 단순한 테스트 용도로 세팅할 거라 쉽게 설치하는 방법만 정리해 봅니다. (실제로는 Apache Log 분석을 위해 awstats를 사용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거라서... ^^ 요것도 곧 정리할께요..) 아파치 설치 > sudo apt-get install apache2 설치가 끝나버렸습니다. :) 그런데 한가지 이슈는 소스 컴파일의 경우, /usr/local/apache 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넣어두고 쓸 수가 있는데. 환경 설정이나 실행파일들이 여기 저기 흩어져 있는 아쉬움이 좀 있네요.. -.- 그래서 주요 파일들 위치만 간단히 정리해 봅니다. 환경설정 파일 (httpd.conf) > vi..
요즘 리눅스 설치가 참 쉬워진 것 같네요.. CD 넣고 NEXT 버튼 몇 번 누르니 설치 완료.... 예전에 리눅스 설치 위해 별 짓을 다했던 것을 생각하면 정말 좋아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설치 중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은 있던데.. 어디에서도 root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화면이 없더라구요.. 설치 완료 후, root 계정을 들어가 보려고 하니 오류가 나네요.. -.- 그래서 확인해 보니 다음 명령어로 root 비밀번호를 설정해 줘야 한다고 합니다. > sudo password root 이 명령어를 사용하고 비밀번호 입력하니 이제 root 계정 접속이 되네요.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