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웹 표준을 살펴보다 보면 대신에 을 사용하라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왜? 대신 을 사용해야 할까요? 실제 사용해보면 나 모두 동일하게 굵게 표시되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그럼.. 먼저 W3C에서 과 태그를 설명하는 부분을 살펴 보시죠. EM and STRONG are used to indicate emphasis. The other phrase elements have particular significance in technical documents. These examples illustrate some of the phrase elements: Please refer to the following reference number in future corresponde..
웹 표준으로 넘어가면서 테이블 태그는 구닥다리이고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를 많이합니다. 실제로 테이블로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까지 테이블 태그를 쓰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테이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태그를 쓰는 것보다 태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합니다. 즉, 달력, 차트, 스케줄, 통계와 같은 형식은 테이블을 쓰는 것이 좋겠지요. 그러나 테이블 태그를 사용할 때는 좀 더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태그에 대해서 한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태그의 올바른 사용 예제로 요즘 한참 인기몰이중인 프로야구의 팀 순위를 가지고 테이블을 만들어 보도록 하죠. 프로야구 팀 순위 순위 팀 승-패-무 승률 1 SK 27-21-1 0.563..
HTML에서 문서 제목 부분은 어떻게 쓸까? HTML 문서도 일반 문서처럼 제목, 소제목 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때 여러분은 어떤 태그를 많이 사용하는지요? 아마도 대부분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많이 사용할 것 같습니다. 미니의 프로그래밍 이야기 여기에 태그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고 하니 CSS의 style을 적용해서 폰트 크기를 키우기도 하겠죠.. 미니의 프로그래밍 이야기 원하는 크기대로 나오고 괜찮은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작성하면 HTML 태그의 기본 속성인 의미 전달이 안됩니다. 즉, 위 부분만 보고서 문서의 제목이라고 판단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죠.. (주로 누가 문서만 보고 판단을 할까요? 한번 생각해 보세요 ^^) 그래서 태그를 한번 사용해 봅니다. CSS의 cl..
시작하면서현재 IT 프로그래밍을 보면 정말 배워야 할 것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Java 분야만 해도 JSP, Java, Struts, Spring, Hibernate, SiteMesh, iBatis, Google App Engine, Hadoop, NoSQL 등등.. 정말 나열해 보니 끝도 없네요. 아마 요즘 시대에 프로그래밍을 시작했다면 막막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학교에서 강의를 하면서 항상 기본부터 시작하라고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그래서 저도 최근 이슈들을 하나씩 정리하려구 하고요. 그 첫번째로 웹 표준부터 시작하려고 합니다. 90년대 후반 처음 웹 프로그래밍을 시작할 때, HTML 태그를 배웠던 기억이 납니다. 태그로 글꼴의 크기나 색상을 이쁘게 하고 으로 구조를 잡기도 하고, 태그 정도 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