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위험(risk)의 원인, 식별, 위험관리 프로세스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위험이라고 하는 것은 드러나기 전에 처리하는 것이 가장 좋기 때문에 이런 위험 관리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위험이 발생한 이후 처리한다면 프로젝트에 타격도 그만큼 크겠죠.. 4. 위험 관리 그래서 이번에는 위험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도록 할께요.. 위험을 관리한다고 해서 모든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는 없을 겁니다. 그러나 위험관리를 통해서 위험을 회피하거나 위험요인을 줄이거나 위험 발생시 비상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관리에 대해서 정리해 봅니다. 1) 획득 (Procurement) 프로젝트 수행 중에 기술적인 위험요소가 발생한다면, 그런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조직을 구해서 해..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가장 큰 요인은 바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드러내서 함께 논의하지 않고 나중에 해결하면 되겠지... 하는 안일한 생각으로 방치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위험관리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위험관리를 포함한 품질관리와 관련된 규격으로는 TL 9000이 있습니다. ISO 9000이란 규격은 많이 들어 보셨을 텐데요.. TL 9000은 ISO 9000에 비해 IT 분야에 특화되어 있고, 품질기획/프로젝트계획/구성관리계획등 계획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Telecommunication Leader 9000의 약어로 QuEST 포럼에서 ISO 9001을 기반으로 1999년 제정했으며, IT 분야의 특성에 따라 하드웨어/소프트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