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2014년 2월 14일 지디넷코리아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최근 금융권에서 개인정보가 대량으로 유출돼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비록 해킹을 통한 정보 유출이 아니었지만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계기가 됐다. 빅데이터 분석과 관련해서도 개인정보 보호 측면이 매우 중요하다.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다 보면 개인 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서 개별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로 제공한다고 가정해 보자. 고객은 기업이 제공하는 세심한 서비스에 감동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자신의 정보가 노출됐다는 생각에 불편해 질수도 있다. 그렇다면 빅데이터 분석에서 개인정보보호는 어떻게 접근해야할까? 먼저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플랫폼에 보안 관련 요소들을 추가해야 한..
MongoDB를 만든 10gen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Kyle Banker가 쓴 책이어서 그런지 정말 최고입니다. 몽고디비를 처음 시작하는 개발자라면 반드시 가지고 참고해야 할 책이 아닐까 합니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 코멘트를 남기고 트윗을 날리는 것부터 검색과 정렬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디지털 상호작용은 본질적으로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이다. 솔직직히 우리가 웹 기반의 프로그래밍이라고 하는 것이 결국은 DB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출하는 것이 대부분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 책은 MongoDB를 설명하기 위해 기본 개념부터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예를 들면, MongoDB의 인덱스 설계 구조를 이야기 하기 위해 인덱스에 대한 이론적 설명부터 합니다. 책을 읽고 ..
NoSQL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10gen에서 개발한 몽고디비(MongoDB)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보통 NoSQL이라고 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스키마가 없이 Key-Value 쌍으로 언제든지 데이터를 저장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MongoDB도 역시 스키마 없는 Document Data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가 Google App Engine을 사용할 때 Big Table이라는 구글의 NoSQL을 써봤는데요. 간단한 기능을 개발할 때 DB 스키마를 만들지 않고 문서를 원하는대로 생성하고 저장하는 구조가 상당히 효율적이었던 기억이 나네요. 아래 내용은 MongoDB in Action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MongoDB 개요Mong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