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P4등 하위버전에서 JSON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PHP4에서 JSON 설치하기 에서 살펴봤다. 이번에는 실제 DB의 내용을 가져와서 JSON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정리해 본다. JSON은 HTML에서 Ajax로 통신하거나 안드로이드, 아이폰과 같은 모바일과 통신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한다. 많이 사용하는 형태인 DB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JSON으로 출력하는 부분을 정리해 보자. 데이터와 JSON 출력형태 사용할 DB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예제를 보여주기 위해 임시로 만든 테이블이다. 이 데이터를 가져와서 출력할 JSON 타입의 문자열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를 묶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middle_exam과 final_exam을 하나로 합쳤다. [ {"name":"mini","age":18,"..
윈도우에는 ERwin과 같이 ER-Diagram을 그리는 도구들이 많습니다. DB 설계를 위해서 Reverse Engineering 등 필수적인 기능인데요. Mac에서도 찾아보니 유사한 것이 있더군요. SQL Power Architect 라고 하는데요. JDBC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ttp://www.macupdate.com/app/mac/25520/sql-power-architect 조금전 확인하고 설치까지만 했는데요.. 그럭저럭 괜찮은 도구 인 것 같습니다. 유로버전인 Enterprise도 있는 것 같네요.. 이 툴을 사용해서 기존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정보를 가져와서 수정한 후 업데이트까지 해봤습니다. ERWin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는 것 같습니다. Enterprise 버전이 별도로..
아이폰에 이어 안드로이드까지 요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대세인 듯합니다. 일단 기존 개발자들이 개발에 대한 접근이 쉽다는 장점이 있어 더욱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아이폰의 경우, Objective-C라는 언어를 별도로 학습해야 하지만 안드로이드는 Java 기반 개발자들에게는 별 어려움 없이 적응 할 수 있기도 하죠. 실제로 자료를 보면 점차 안드로이드 점유율이 높아질 거라 예상하고 있기도 하네요. 저희도 개발하면서 느끼는 거지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왠지 모르게 느리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게임이나 내부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조금 낫지만 서버를 접속해야 하는 경우에 특히 이런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3G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속도 때문인데요.. 실제 개발할 때는 보통 WIFI 환경에서 개발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