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DFS vs HDFS2
기존의 하둡 파일 시스템의 가장 큰 취약점은 바로 네임노드였다.
여러 개의 데이터 노드를 연결해서 데이터 노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드웨어 오류에 대응할 수 있었지만,
네임 노드는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위험에 노출되어 있던 것이 사실이다.
HDFS2로 넘어가면서 네임노드에도 확장성을 위해 여러 개의 네임노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그래서 네임 서버들을 구분하기 위한 여러 개의 네임스페이스를 도입하게 되었고, 네임 서버에 대한 고가용성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여러 개의 네임 서버에서 데이터 노드를 관리하기 위해서 Block Pools 개념도 등장한다.
마찬가지로 하둡 1.0의 맵리듀스에서도 마스터 노드에 하나의 잡트래커를 사용했다.
잡트래커에서 스케쥴링, 모니터링, 실패한 태스크의 재실행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었다.
YARN - NexGen MapReduce
하둡 2.0에서 잡 트래커커의 역할을 리소스 관리와 잡 스케쥴링/모니터링으로 분리해서 효율성을 높인 것이 바로 Yarn이다.
마스터 노드에서는 리소스 관리를 진행하고, NodeManager는 각 노드에서 실행하고, ApplicatonMaster는 각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실행하는 것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하둡 1.0은 맵리듀스만을 기반으로 Hive, Pig 정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었지만,
YARN 기반으로 업그레이드하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하둡 파일 시스템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YARN 아키텍처의 흐름을 살펴보기로 하자.
1. 클라이언트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요청한다.
2. Resource Manager는 Container 할당을 책임지는 Applicatoin Master를 실행한다.
3. Application Master가 Resource Manager에 등록된다.
4. Application Master가 resource-request 프로토콜을 통해 적절한 리소스의 Container를 요청한다.
5. Container가 성공적으로 할당되면, Application Master는 Container 실행 스펙을 Node Manager에게 제공하여 Container를 실행시킨다.
6. 응용프로그램 코드는 Container에서 실행되고, 진행률/상태 등의 정보를 Application Master에 제공한다.
7. 응용프로그램 실행 중 클라이언트는 진행률/상태 등을 얻기 위해 Application Master와 직접 통신한다.
8. 응용프로그램이 완료되고 필요한 작업이 종료되면, Application Manager는 Resource Manager에 등록을 해제하고, 자신의 Container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종료한다.
'Cloud&BigData > 하둡(Hado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ve 예제 살펴보기~ (0) | 2016.01.07 |
---|---|
Pig 첫번째 예제 VM에서 실행하기~ (0) | 2016.01.06 |
[QuickStartVM] 하둡 word counting 테스트 (0) | 2016.01.04 |
HDFS 간단히 살펴보기~ (0) | 2015.12.31 |
클라우데라 QuickStart VM 설치하기 (0) | 2015.12.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바
- 도서
- mysql
- 통계
- 프로젝트
- 마케팅
- fingra.ph
- 자바스크립트
- ms
- 분석
- 책
- XML
- 모바일
- java
- 클라우드
- 하둡
- 안드로이드
- SCORM
- HTML
- 애플
- 디자인
- 맥
- 아이폰
- 세미나
- 웹
- Hadoop
- 구글
- r
- 빅데이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