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미리 만들어진 스크립트를 예약된 시간에 실행하는 기능이 필요해서 at 명령어를 사용해 봤습니다. at 명령어와 작업 시간을 지정하고 난 후, 실행할 명령을 입력한 다음 Ctrl + D로 저장하면 됩니다. 예약된 작업의 확인은 atq로 할 수 있습니다. at을 실행하는 데몬은 atd로 /etc/init.d/atd 가 있습니다. 만약 실행되어 있지 않다면 다음과 같이 데몬을 실행할 수 있겠죠. # /etc/init.d/atd start 간략하게 정리해 봤습니다.
하둡(Hadoop)의 파일시스템인 HDFS의 명령어를 모두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하둡의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hdfs dfs -cmd cmd가 지정한 파일 명령어이고 는 각 명령에 따른 인자들을 나타냅니다. hadoop fs를 제외하면 일반적인 리눅스 명령어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서 "거침없이 배우는 하둡"의 부록을 참고했습니다.) cat hdfs dfs -cat FILE [FILE ...] 파일의 내용을 나타낸다. 압축된 파일을 읽기 위해서는 fs 대신에 text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chgrp hdfs dfs -chgrp [-R] GROUP PATH [PATH ...]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한 그룹을 변경한다. -R 옵션은 하위 ..
실제 접속한 사용자가 있을 때, 웹서버를 재시작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현재 접속한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리눅스 명령어가 필요해 정리해 봤습니다. 결과부터 이야기 하면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netstat -an | grep :80 | grep ESTB | wc -l이 명령어를 alias를 적용해서 사용하면 바로 체크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각각의 명령어를 한번 정리해보도록 하죠. netstat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상태를 알려주는 명령어 입니다. 프로토콜,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상태 등의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요. 다양한 옵션으로 더 많은 정보를 볼 수도 있습니다. -a 모든 소켓 정보를 출력합니다. -n 호스트명 대신 숫자로 출력합니다. -p PID와 프로그램 ..
◈ mysql database 접속 -- root 유저 접속 mysql> mysql -uroot -- mysql db 접속 mysql> use mysql; -- database 조회 mysql> show databases; -- table 조회 mysql> show tables; -- table 구조 조회 mysql> desc db; ◈ root유저 비밀번호 변경 mysql> UPDATE user SET password = password('storm') WHERE user = 'root'; Query OK, 2 rows affected (0.28 sec) Rows matched: 2 Changed: 2 Warnings: 0 user 테이블상에 root 사용자가 localhost와 host명으로 2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