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적 가설 검정(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절차
통계적 가설 검정은 통계적 추측의 하나이다. 전체 집단의 실제 값이 얼마라는 주장에 대해서 표본을 활용해 가설의 합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빅데이터 시대에는 전체 데이터 대상으로 수집, 처리하기 때문에 통계적 가설 검정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전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다면, 통계적으로 가설이 적합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절차다. 통계적 가설 검정 절차 통계적 가설 검정은 다음 5가지 절차를 거쳐서 수행한다. 1. 유의수준의 결정,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설정2. 검정통계량 결정3. 기각역의 설정4. 검정통계량 계산5. 통계적인 의사결정 유의수준의 결정,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설정 유의수준(Significance level)이란 통계적 가설 검정에서 사용하는 기준값으로 로 표시한다. 여론조사..
컴퓨터공학/통계학
2017. 3. 13. 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