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XP 서비스팩 2에서 IE7을 사용하는 분들이 많을걸로 생각됩니다. 이 경우, XP 서비스팩 3로 업데이트에서 IE와 관련된 한가지 사항은 숙지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IE and Windows XP Service Pack 3 블로그 내용을 살펴보면 Windows 서비스팩 3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웹브라우저는 IE6입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IE 6를 사용하던 사람은 서비스팩 3로 업데이트를 하더라도, 기존 IE 6의 업데이트 부분이 설치되기 때문에 별 문제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반면 서비스팩2에서 IE 7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 SP3로 업데이트하면 기존에 제어판에 있던 IE 7 제거가 안된다고 합니다. 즉 IE 6로 돌아갈 수는 없다는 거죠.. 뭐 기존 IE 6로 돌아..
요즘 애자일 방법론이나 XP(eXtreme Programming)가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폭포수 모델 보다는 반복을 통해 보다 빠른 피드백이 가능하고.. 자동 배포, 자동 테스트를 통한 개발 생산성 향상.. 짝 프로그래밍을 통한 프로그래밍 효율성 증대.. 그리고 주 40시간에서 16시간 근무로의 변경.. 정말 매력적인 요소가 많습니다. 특히 야근에 찌들어있는 개발자들에게는 환상적인 요소지요. 그런데 제가 이런 부분들을 적용하면서 느끼는 점이 있는데요.. 개발자 스스로 입맛에 맞는 것만 취하고 나머지는 버린다는 점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주 16시간 근무와 같은 것인데요.. 이것의 기본 개념은 40시간에 일할 내용을 우리는 16시간이면 처리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남는 시간..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 켄트 벡.신시아 안드레스 지음, 정지호.김창준 옮김/인사이트 예전에 UML관련 책을 찾다가 "UML, 실전에서는 이것만 쓴다" 라는 책을 본적이 있었는데요.. 여기에서 XP에 대한 언급이 한 chapter 정도 나옵니다. 그때, XP가 이런 것이구나 하고 관심을 가졌었는데요.. 이번에 XP에 대한 책을 제대로 한번 읽어봤습니다. -.- XP에 대해 읽어보면서 느끼는 점은 역시 실천하지 않고 알고 있는 지식은 아무 쓸모가 없다는 점입니다. 처음 XP를 접했을 때도 그랬지만, 여전히 XP의 실천방법을 실행하는 것이 쉽지는 않네요. 일단, 가능한 것부터 나 자신부터 테스트 해보려고 합니다. XP에서 말하는 가치나 원칙은 어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을 쓰더라도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윈도우(XP)를 다시 설치할 경우, 어떤 것들을 최적화해야할까? 항상 설치할 때마다 고민하고.. 이것 저것 찾아보고.. 그때 그때 적용해왔었는데요.. 이번 기회에 대략적으로라도 정리해 두려고 합니다. (물론 모두 블로고스피어에 있는 글을 링크하려구 합니다. ^^) 1.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바로 윈도우 업데이트겠죠.. http://windowsupdate.microsoft.com/ 2. 백신프로그램 바이러스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하나 설치하는데요.. V3나 바이로봇도 있지만 Nod32가 가벼워서 주로 설치합니다. 간단한 사용법을 화면 캡쳐를 통해 정리해 둔 블로그가 있네요.. http://blog.naver.com/hjm01/26048731 3. MSCONFIG "시작 > 실행..
조엘 온 소프트웨어 조엘 스폴스키 지음, 박재호.이해영 옮김/에이콘출판 어느날 FineApple(http://fineapple.org/)이 한번 읽어보라고 준 책입니다. (좋은 책 소개해 준 FineApple님에게 감사드립니다. ^^) 처음 받았을 때는 표지도 좀 별루고~ 다른 볼 책들도 있었기에.. 한쪽에 두고 있었슴다. 그러다가 "이거 한 번 읽어볼까.." 하고 봤더니.. 오~~ 처음부터 내용이 너무 괜찮은 거예요.. 개발자에 대한 이야기들.. 유니코드~~ 기능명세 관련 글.. 내용이 너무 괜찮아 웹에서 찾아봤더니.. 2006년인가 베스트셀러에 강컴 어워드였더군요.. (그동안 책을 너무 안읽었어 -.-) 끝까지 읽어보니 첫 느낌대로 책의 내용은 괜찮았습니다. 이것저것 블로그 글을 모아둔 것이라서 그런..